|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 Volume 52(1); 2024 > Article
6차 산업에서 기업가 정신이 지속가능성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Purpos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mphasizing entrepreneurship and sustainability among manager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Industry 6.0, especially in situations of increas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The research model reveals the important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sustain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 sought to confirm that entrepreneurship in the 6th industry is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6th industry entrepreneurs, and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Results

Despite a non-significant direct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performance, a notable effect of sustainabil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was identified. This highlights the fact that entrepreneurship contributes to firm performance through innovation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form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and sustainability, highlights their interconnectedness and suggests that their inclusion in the same management activities improves performance.

1. 서 론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으로 선정된 6차산업화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4년 6월 제정, 2015년 6월 시행됨에 따라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6차산업의 핵심 사업의 하나가 6차산업 인증기업의 선정 및 관리이다. 6차산업 인증기업의 육성·관리를 통한 소득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Eunil Son, 2019).
6차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기업 성과를 형성하는데 기업가 정신은 매우 중요하다. 기본 전제는 기업이 성과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직면한 외부 환경에 맞는 전략적 접근 방식이 필수적이라고 가정한다(Lumpkin and Dess, 2001). 외부 조건에서 발생하는 제약과 위협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환경의 단점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을 고안하는 데 능숙한 기업은 우수한 성과를 달성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 환경의 역동적인 성격을 이해하는 것이 외부 환경의 복잡성에 부합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된다. 만연한 불확실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오늘날의 비즈니스 환경은 시장 역학, 기술 발전, 진화하는 고객 기대 등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세계화의 힘은 시장 범위를 확대하여 경쟁업체의 확산을 가져왔고, 제한적이고 식별 가능한 수의 시장 참가자로 특징지어졌던 과거와는 대조적으로 영원한 경쟁의 시대를 열었다(Lee and Moon, 2022).
더욱이, 기술 진화의 가속화 속도는 제품의 수명주기를 단축시키고 새로운 기술 솔루션의 급속한 출현을 촉진하며 동시에 기존 제품의 노후화를 가속화한다. 활발한 기술 교류와 융합을 통해 산업간 장벽을 허물면 파급효과가 증폭되고, 한 분야의 혁신이 다양한 산업에 깊은 울림을 준다.
이러한 역동적인 환경에서는 기업가 정신이 지속가능성을 촉진하고 기업 성과를 이끌어내는 핵심 요소로 떠오르는 6차 산업이 특히 큰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6차 산업에서 기업가 정신, 지속가능성, 기업 성공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조사하고, 빠르게 진화하는 비즈니스 생태계 내에서 도전 과제를 탐색하고 기회를 활용하는 데 기업가적 이니셔티브가 수행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조명한다.
대외적 불확실성이 큰 제약과 위협을 안겨주는 역동적인 6차 산업 환경에서 기업은 이러한 난제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눈부신 성장과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역량의 중심에는 기업가 정신과 혁신이 서로 얽혀 있는 개념이 있으며, 이들의 공생 관계는 기업의 전략적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탐구된다(Al-Askari, 2011). 기업 활동의 창조적 진화는 기업가적 이니셔티브에 의해 근본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업가 정신과 혁신 사이의 연계는 중추적이다(Al-Askari, 2011).
이러한 맥락에서 기업가 정신은 불확실성에 직면한 투자 결정과 전략적 행동을 포괄하는 다양한 위험 감수 행동을 요약한다. 이는 대담한 제품 혁신, 기술을 선도하려는 적극적인 의지, 경쟁 기업에 대한 공격적이고 진취적인 경향이 특징인 개척 정신으로 나타난다(Zahra, 1991). 연구 결과는 기업가 정신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 고용 창출, 실업률 감소, 기업 가치 창출(경제 성장과 활력의 원동력)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입증한다. 결과적으로 최근 수십 년 동안 기업가 정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급증했다(Brenkert, 2009).
직원 고용 창출, 경쟁력 강화, 지속가능성, 제품 혁신 등 다양한 차원을 포괄하는 대부분의 기업가정신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기업 성과 개선 및 경제 성장 촉진을 위한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Ibourk & Amaghouss, 2013). 스타트업과 같은 아이디어나 기술 중심 벤처의 창조와 성공 과정에 대한 탐구로 시작된 것이 기업 수준의 기업가 정신에 대한 더 넓은 이해로 발전했다. 오늘날 기업가 정신은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기업의 전략적 성공과 성과 극대화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Low and MacMillan, 1988; TaeSun Kang et al., 2021).
6차 산업의 맥락에서 기업가 정신에 대한 McDougall과 Oviatt(2000)의 미시경제적 관점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을 설명한다. 첫 번째는 경영진의 태도와 시장에서 기회를 추구하여 회사의 가치를 창출하려는 욕구와 관련된다. 두 번째는 기업의 기업가적 행동을 강조하며, 시장 기회에 대한 이해와 이러한 기회에 부합하는 조직 자원의 개발을 강조한다. 6차 산업 분야의 기업가 정신과 기업 성과에 대한 이러한 탐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이 분야에서 성공과 혁신을 주도하는 전략적 필수 요소를 조명한다.
McDougall과 Oviatt(2000)의 관점은 창업가에 대한 기존연구가 개인 창업가 수준과 기업 수준 모두에서 수행되었으며 Low와 MacMillan(1988)이 제시한 관점과 일치함을 시사한다. Nadkarni(2013)는 혁신 활동이 본질적으로 기업가적 프로세스를 구성한다고 가정한다. Brenkert(2009)은 기업가 정신이 이러한 추진의 핵심 원천으로 확인되면서 혁신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기업의 변화 성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기업 수준에서 기업가 정신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며 혁신, 주도성 및 위험 감수를 기반으로 기업 수준 기업가 정신을 측정한 Miller(1983)의 조사에서 설정한 궤적을 반영한다. Brenkert(2009), Covin & Slevin(1991), Low & MacMillan(1988), McDougall & Zahra(1991), Zahra & Covin(1995) 등의 수많은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사실이 강조되었다. 기업가 정신이 기업 차원에서 발현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 맞춰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정신을 혁신성, 진보성, 위험 감수의 차원으로 통합하고, 지속가능성은 제품 혁신과 프로세스 혁신으로 분류한다.
재무 지표, 시장 점유율, 고객 만족도, 내부 프로세스 효율성, 품질 향상, 배송 효율성, 유연성 및 직원 만족도를 포함하는 기업 성과의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측정 방법을 사용한다(Kaplan & Norton, 1992). 특히, 본 연구의 성과변수는 혁신 성과로 조작화되었으며, 이는 기업가 정신과 지속가능성이 기업의 변화 및 혁신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이해와 일치한다. 연구 모델은 기업가 정신, 지속가능성, 혁신 성과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가정하는 동시에 지속가능성의 매개 효과도 탐구한다. 가설은 구조 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실증된다.
이번 연구에서 예상되는 결과는 다양하다. 첫째, 기업가 정신은 기술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혁신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불확실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혁신을 추구하고, 경쟁사를 능가하는 적극적인 자세와 관리가능한 위험을 계산적으로 수용하는 기업가 정신을 육성하는 기업은 적극적인 지속가능성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혁신 성과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기술 혁신이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기대는 제품 및 프로세스 수준 모두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시장의 고객과 경쟁업체에 강력한 혁신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는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과 혁신성과 사이의 기술 혁신의 매개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의 통로를 통해 기업가 정신과 혁신 성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중재자로서 지속가능성의 미묘한 영향을 탐색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과가 다양한 경영활동과 실천의 산물이라는 점을 인식하면서, 재무적 성과나 경영성과 등 널리 채택되는 성과지표를 활용하는 데 따르는 한계점에 직면한다. 이 연구는 변수를 혁신 성과로 제한함으로써 기업가 정신과 혁신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한 보다 미묘한 이해를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2.1 6차 산업

2023년 12월 기준 6차산업 인증기업 수는 경남지역 244개소를 비롯하여 전국에 총 2,486개소이다. 2015년 802개소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인증기업 수 증가는 매출과 고용 증가로 소득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6차산업 인증기업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6차산업이 IT, BT, NT 등 기술과의 융복합을 비롯하여 인공지능, AI 등의 내외부 환경변화와 연계하거나 극복하여 야 한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영자의 기업가정신과 혁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기업가 정신, 지속가능성,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하고, 6차산업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제시하였다.
6차 산업은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한 변화의 시대를 의미한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사물인터넷이 핵심 기둥이 되어 전통 산업을 재편하고 있다. 인터넷, 5G,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한 글로벌 연결은 원활한 정보 흐름을 촉진한다.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는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혼란에 빠뜨리고 혁신을 촉진하지만, 일자리 대체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사회적 영향에는 소비자 행동의 변화,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및 윤리적 고려 사항이 포함된다. 6차 산업은 전례 없는 기회를 제시하며 이해관계자들이 역동적인 환경에 적응하도록 촉구한다.

2.2 기업가 정신

Davis(1998)가 정의한 기업가 정신은 독립적으로 비즈니스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혁신, 위험 수용,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통한 시장 도전, 진보성 추구에 대한 헌신을 나타냅니다. 관리자의 높은 수준의 기업가 정신이 시장 경쟁자에 비해 더 큰 성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Covin & Slevin, 1991), 이 분야의 초기 연구는 주로 신생 기업 및 벤처 기업 활성화를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Zahra & Covin, 1995). 그러나 Brenkert(2009)는 개별 창업자에게 맞춰진 일반적인 정의가 일반 기업 경영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창업자를 위해 고안된 기업가 정신 개념을 대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회사 유형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Covin과 Slevin(1991)은 창업가행을 개인 창업가의 행동이 아닌 기업 행동 모델로 보고 창업가행 연구 패러다임을 기업 수준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기업 차원의 기업가 정신 모델이 기업 효율성은 그 차원에서 발생하는 현상이고 개인 차원의 행동이 기업과 개인의 행동 모두에 영향을 미쳐 기업 성과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개별 관리자가 강력한 기업가 정신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이를 구현하고 이를 회사의 역량과 일치시키는 기업의 능력이 기업가적 성과를 실현하는 데 중요하다는 주장이 강조되었다. 이로 인해 최근 기업 차원에서 기업가 정신이 재정의되었다. 새로 창출된 자원을 기업 차원의 기회에 연결하고, 기업 역량을 확장하고, 고객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발견 및 개발하고, 잠재적인 고객 요구를 충족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업 수준의 기업가 정신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기업의 지배적인 특성, 특히 전략적 의사결정에서 관리자의 독립적인 지향으로 식별한 Miller(1983)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Miller(1983, 1993)는 혁신, 적극성 및 위험 감수를 기업가 정신의 필수 구성 요소로 묘사했다. 본 연구에서 기업가 정신은 Miller(1983, 1993) 구성 요소의 렌즈를 통해 조사되는데, 여기서 혁신성은 시장 요구에 맞게 제품을 만들거나 수정하는 회사의 능력과 관련이 있고, 적극성은 새로운 제품, 서비스의 도입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는 기술, 위험 허용도는 높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략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반영한다.

2.3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에 관한 이 논문은 지속 가능한 관행을 운영에 통합하려는 기업을 위한 강력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포괄하는 지속가능성의 다각적인 성격을 탐구한다. 이 연구는 지속 가능한 개발, 삼중 수익 이론, 탄력성 이론과 같은 주요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전체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이는 이러한 차원의 상호 연결성을 강조하고 포괄적인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시스템 사고와 전환 관리 전략을 사용하여 지속가능성 문제의 복잡성을 탐색한다. 이는 기업이 운영하는 상호 연결된 시스템을 이해하고 관리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관행을 채택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연구는 지속 가능한 결과를 형성하는 데 있어 제도, 정치 생태학, 조직 역량의 역할을 탐구한다.
이 논문의 주목할 만한 측면은 기업이 금전적 이익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영향도 고려하도록 옹호하는 삼중 수익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기업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맞게 전략을 조정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회복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이 백서는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이해관계자 참여, 윤리적 고려 사항,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질적으로 이 논문은 지속가능성을 수용하려는 기업을 위한 포괄적인 가이드 역할을 하며 실용적인 통찰력과 함께 풍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이는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단순히 책임이 아닌 혁신, 경쟁력 및 장기적인 원천으로 보도록 장려한다.

2.2 혁신성과

Schumpeter(1934)는 혁신을 제품, 생산 방법, 시장, 공급업체 및 기업 구조와 같은 차원을 포괄하는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개념화는 후속 혁신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Anderson and King, 1993; Armbruster et al., 2008; Damanpour and Evan, 1984; Totterdell et al., 2002). Camison과 Lopez(2010)는 혁신이 기업 가치의 평가절하를 방지하고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Teeceet al.(1997), Eisenhardt와 Martin(2000)은 혁신이 경쟁우위와 뛰어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이라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혁신이 기업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지만, 혁신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혁신의 속도, 수준, 목표를 기준으로 혁신을 분류한다. 속도 측면에서는 점진적 혁신 또는 급진적 혁신으로 구별된다(Mosey, 2005; Kanter, 1985; Simon et al., 2002). 혁신 수준에 따라 탐색적 또는 착취적 혁신으로 분류된다(Gupta et al., 2006; Im, Rai, 2008; Jansen et al., 2006; Kristal et al., 2010). 혁신의 목표는 기술 혁신과 경영혁신으로 구분된다(Armbruster et al., 2008; Camison and Lopez, 2010; Damanpour and Evan, 1984; Schumpeter, 1934). 본 연구는 후자의 분류에 부합하며, 특히 혁신의 대상에 초점을 맞췄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회사의 혁신 이니셔티브에서 관리자의 중추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혁신에 내재된 위험과 파괴적인 성격을 고려할 때 도입 또는 구현 단계에서 갈등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려면 경영자의 강한 기업가 정신과 창의적 혁신을 핵심으로 하는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Kwon and Son, 2014). 혁신의 성공은 혁신에 대한 경영진의 헌신과 지원 없이는 보장하기 어렵습니다(Hage & Dewar, 1973). 따라서 관리자는 혁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혁신에 대한 의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혁신적인 노력을 통해 조직의 비전을 명확히 표현해야 한다(Kanter, 1988).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1 자료수집

기존 연구에서는 대상기업의 규모에 따라 기술 혁신 활동과 혁신 성과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and Hong, 2011). 기존 연구를 검토한 본 연구에서는 Figure 4와 같이 기업가 정신, 지속가능성,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연구 모델과 가설로 제시한다.
가설:
기업가 정신은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업가 정신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속가능성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검정을 위한 연구 모델과 측정 도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인정된 이전 연구에서 채택되었다. 도구는 구조화 된 질문을 사용하여 내용 타당성을 확보했으며, 일부 질문은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연구 주제에 맞게 수정되었다. 모든 측정 도구는 5점 등간격 척도를 활용하여 응답자들이 질문과의 일치 정도에 따라 1~5 범위의 척도로 동의를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자세한 내용은 Table 1 참조).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2023년 1월 경상남도, 전라남도 소재 6차산업 인증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여 290개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설문조사 전 기업과 전화 통화를 거쳐 이메일을 통해 배포됐다. 공동작업에서는 설문조사에 응답할 최고 경영진, 부서 관리자 또는 더 높은 직위에 있는 개인을 찾았습니다. 수집된 설문지는 완성도가 낮은 설문지(응답이 불완전하거나 한 숫자에 집중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선별 과정을 거쳤습니다. 또한 극단값을 갖는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정규성 테스트를 수행했다.
제외 후 9개의 데이터 포인트가 제거되어 실증적 분석을 위해 281개의 유효한 데이터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의 특성은 <표 2>와 같이 성별, 최종학력, 고용 형태를 포함한다. 산업은 표준 산업 분류에 따라 분류되어 분석 프로세스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본질적으로, 이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업가 정신, 지속가능성 및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데 있어 신뢰성과 관련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 세트를 엄격하게 선별했다.
신뢰성 분석 결과 Cronbach의 알파값은 0.902로 0.6보다 높은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설문 신뢰성을 갖춘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부 신뢰성 분석 결과는 <Table 2>에 표시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값이 0.890으로 모두 0.6보다 높은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모형

가설을 근간으로 만든 모형은 기업가 정신과 지속가능성, 혁신 성과는 서로 영향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아보는 것이며, 또한 기업가 정신은 기업의 연구개발과 혁신 강화 의지, 혁신 아이디어의 적극적 수용, 창의적 마케팅 방법의 개발 및 적용, 의사소통을 통한 생산강화, 위계질서보다 독창적이고 혁신성 선호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속가능경영은 효율적 생산비용 관리, 재무관리, 건전하고 안전한 자금 운영, 장기전략구축 및 고용 창출 노력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혁신 성과로는 혁신 추진성과, 목표 달성, 혁신 기대 성과, 긍정적 매출 달성, 긍정적 조직 발전의 관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기업가 정신, 지속가능성 및 혁신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은 경제, 사회 및 환경 발전을 추진하는 데 있어 이 세 가지 요소의 상호 연결성을 인식하는 역동적인 프레임워크로 구성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기업가 정신은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추구하는 혁신 문화를 조성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며, 지속가능성 원칙은 기업가가 경제적 성장과 환경적, 사회적 책임의 균형을 맞추도록 안내하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혁신은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발전을 창출함으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모형은 책임 있는 6차 산업분야에서 기업가적 노력이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미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보여줄 것이라 생각한다.

3.3 분석결과

연구모형 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면 카이제곱값이 210.664로 높지만 설문대상이 200명을 넘기때문에 큰 의미가 없으며 다른 적합도 지수들은 대부분 권장 수준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자료가 모형에 적합함을 시사하고 있다(Lee and Cho, 2021).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정신은 지속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기업가 정신은 혁신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셋째. 혁신성과는 지속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3은 채택되었다.

4. 결 론

6차산업 기업의 성장에 있어서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은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불확실한 환경변화에서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은 혁신을 주도하고 기업의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가 정신이 지속가능성과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형으로 제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정신은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 정신은 혁신성에 초점을 두었고, 지속가능성은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6차산업 인증기업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은 혁신에 대한 의지와 수용은 지속가능성을 강화한다는 것을 설명해 주고 있다.
둘째, 기업가 정신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차산업 인증기업의 경우 기업가 정신은 목표나 매출 달성 등의 혁신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많은 인증기업의 사례를 보더라도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이 조직의 운영이나 발전 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쨰, 혁신성과는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매출 달성 등의 결과는 안정적인 재무관리와 장기전략 강화로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6차산업 인증기업의 주요한 목표의 하나가 매출과 고용임을 고려할 때 혁신 성과와 지속가능성의 관계 검정 결과가 의미가 있어 보인다.
6차산업 인증기업은 혁신을 통하여 기업가 정신을 강화하고, 이는 지속가능성과 혁신 성과에 연결된다는 것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혁신을 통한 경제적 측면의 개선은 기업의 성과로 직결된다는 것을 직시하고 있어 보인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6차산업 기업가 정신이 지속가능성과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6차산업 기업가 정신의 모델이 다른 분야의 기업가 정신에도 적용 가능한지 등의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 모델의 일반성 및 보편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Al-Askari, A. S. 2011.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on developing the marketing strategy in business organizations-an. analytical study-. Journal of Business and Retail Management Research 5(2):105-117.

Anderson, N., and King, N. 1993.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 1-34.

Armbruster, H., Bikfalvi, A., Kinkel, S., and Lay, G. 2008.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challenge of measuring non-technical innovation in large-scale surveys. Technovation 28(10):644-657.
crossref
Brenkert, G. G. 2009. Innovation, rule breaking and the ethics of entrepreneurship.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4: 448-468.
crossref
Camison, C., and Lopez, A. V. 2010.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30(8):853-878.
crossref
Covin, J. G., and Slevin, D. P. 1991.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6(1):7-25.
crossref pdf
Damanpour, F., and Evan, W. M. 1984.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the problem of organizational la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9(3):392-309.
crossref
Davis, W. 1998. GreatMyths of Business, Kogan Page, Dover, NH. economic growth: The role of cyclical factors. International Businses Research 6(1):153-162.

Eisenhardt, K. M., and Martin, J. A. 2000. Dynamic capabilities: what are the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10-11):1105-1121.
crossref
Lee, Eun Ji, and Moon, Jaeyoung 2022. Analysis of CSR·CSV·ESG Research Trends - Based on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50(4):751-776.

Son, Eunil 2019. Gyeongnam 6th Industry Guide Book. Hankyungsa.

Gupta, A. K., Smith, K. G., and Shalley, C. E. 2006. The interplay betwee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4):693-706.
crossref
Hage, J., and Dewar, R. 1973. Elite value vs organizational structure in predicting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8: 279-290.
crossref
Ibourk, A., and Amaghouss, J. 2013.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role of cyclical factors. International Businses Research 6(1):153-162.

Im, G., and Rai, A. 2008. Knowledge sharing ambidexterity in long-term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Management Science 54(7):1281-1296.
crossref
Park, Jaemin, and Lee, Jungmann 2011. How Do Firms' Innovation Behaviors Affect their Outpu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3):339-350.
crossref
Kanter, R. M. 1985. Supporting innovation and venture development in established compan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1):47-60.
crossref
Kanter, R. M. 1988. When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social, and collective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169-211.

Kaplan, R. S., and Norton, D. P. 1992. Balanced scorecard-measure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Feb: 71-79.

Kristal, M. M., Huang, X., and Roth, A. V. 2010. The effect of an ambidextrous supply chain strategy on combinative competitive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8(5):145-429.
crossref pdf
Kim, Kwangdoo, and Hong, Woonsun 2011. Effect of Firm’s Activities on Their Performance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4(2):373-404.

Kwon, Hyeok GI, and Son, Heon IL 2014.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Focused on examining mediator effect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Daehan Academmy of Management Systems 33(3):77-92.
crossref
Lee, E. J., and Cho, C. H. 2021. Analysis of Smart Factory Research Trends Based on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9(4):551-567.

Low, M. B., and MacMillan, I. C. 1988. Entrepreneurship: past research and future challenges. Journal of Management 14(2):139-161.
crossref pdf
Lumpkin, G. T., and Dess, G. G. 2001. Linking two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and industry life cycl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6: 429-451.
crossref
McDougall, P., and Oviatt, B. 2000.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the intersection of two research path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5):902-908.
crossref
Miller, D. 1983.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29(7):770-791.
crossref
Miller, D. 1993. Industry and country effects on manag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uncertainti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4(4):693-714.
crossref pdf
Mosey, S. 2005. Understanding new-tomarket product development in SMEs.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25(2):114-130.
crossref
Nadkarni, S. 2013.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in small business Indian.

Schumpeter, J.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Simon, M., Elango, B., Houghton, S., and Savelli, S. 2002. The successful product pioneer: maintaining commitment while adapting to change.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40(3):187-203.
crossref
Kang, Tae Sun, Kim, Youn Sung, and Jung, Dexter 2002. ESG Management Practice Led by BYN Black Yak: The Resource Circulation System for Recycling Domestic Transparent PET Bott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9(3):433-446.

Totterdell, P., Leach, D., Birdi, K., Clegg, C., and Wall, T. 2002. An investigation of the contents and consequences of major organizational innov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6(4):343-368.
crossref
Zahra, S. 1991. Predictors and financial outcome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6(4):259-285.
crossref
Zahra, S., and Covin, J.G. 1995. Contextual influences o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performance relationship: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0(1):43-58.
crossref

Figure 4.
Research model
jksqm-52-1-173f1.jpg
Figure 4.
Research model and path coefficient
jksqm-52-1-173f2.jpg
Table 2.
Demographic analysis
Valid Frequency Percent Valid Frequency Percent
Male 164 58.4 College graduate 24 8.5
Female 117 41.6 college graduate 68 24.2
Full-time 225 80.1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175 62.3
non-regular worker 56 19.9 Graduate school (doctorate) 14 5.0
Total 281 100.0 Total 281 100.0
Table 3.
Reliability Analysis
Factor Cronbach’s alpha Factor Cronbach’s alpha Factor Cronbach’s alpha
strengthening innovation .893 innovation performance .898 cost management .892
accept innovation .929 target effect .894 financial management .893
sales promotion .891 corporate performance .895 safe fund operation .893
strengthening communication .890 sales achievement rate .894 building a long-term strategy .893
innovation preference .895 organizat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895 job creation .895
Table 4.
Hypothesis test results
Hypothesis Path hypothesis direction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p-value result
Hypothesis 1 entrepreneurship ↔ sustainability + 0.775 0.000 do not reject
Hypothesis 2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performance + 0.681 0.000 do not reject
Hypothesis 3 innovation performance ↔ sustainability + 0.758 0.000 do not reject
Editorial Office
13F,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2624-0357   FAX: +82-2-2624-0358   E-mail: ksqmeditor@ksqm.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